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비욘드유토피아 우리 옆의 탈북 이야기

by 월드2@ 2024. 8. 16.

비욘드 유토피아 우리 옆의 탈북 이야기

영화 비욘드 유토피아는 우리 옆의 탈북 이야기를 다룬다. 그들의 눈물어린 탈북 과정은 남의 이야기가 아니고 우리 동족의 이야기이며, 언젠가는 함께 살아가야 할 이웃들의 이야기이다.

영화 소개

<비욘드 유토피아>는 2024년에 개봉한 다큐멘터리 영화로, 북한의 감옥에서 탈출하여 자유의 땅으로 힘겹게 도망친 사람들의 삶을 생생하게 담은 작품이다. 이 영화는 제96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베스트 다큐멘터리 후보로 선정되었으며, 로튼토마토 신선도 100%를 기록하며 호평을 받았다. 이 영화는 북한에서 탈출을 시도하는 두 가족과 그들을 돕는 김성은 목사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북한의 인권 유린과 탈북의 위험성, 그리고 탈북 후의 적응과 희망을 보여준다.

영화의 배경과 의도

<비욘드 유토피아>는 감독 매들린 개빈의 데뷔작이다. 매들린 개빈은 철학과 미디어학을 전공한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이 영화를 통해 자신의 관심사와 연구 주제를 영화적으로 표현하고자 했다.
매들린 개빈은 북한의 현실을 알리기 위해 3년 동안 영화를 제작했다. 그는 탈북을 돕는 김성은 목사와 연락을 취하고, 탈북을 시도하는 두 가족의 실제 영상을 촬영하고, 탈북 후 미국에서 작가로 활동하는 이현서 씨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그는 이 과정에서 많은 위험과 어려움에 직면했지만, 북한 주민들의 인권을 세계에 알리고자 하는 강한 의지로 영화를 완성했다.

영화의 주요 인물과 사연

<비욘드 유토피아>의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인물 설명
김성은 목사 갈렙선교회 소속으로, 지난 23년간 북한 주민의 탈북을 도왔다. 그는 1990년대 중국으로 선교 활동을 하러 갔다가 기근에 시달리는 북한의 실상을 알게 됐고, 압록강에 즐비했던 북한 주민의 시신을 본 후로 평생 저들을 도와야겠다고 결심했다. 그는 탈북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전화와 상담을 제공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직접 탈북을 돕는다.
노 씨 일가족 80대 노모와 어린 두 딸, 남편과 함께 북한을 떠나 중국 → 베트남 → 라오스 → 태국 → 한국으로 오는 과정을 담은 가족이다. 그들은 북한에서는 평범한 삶을 살았지만, 자유를 갈망하고 탈북을 결심했다. 그들은 김성은 목사의 도움을 받아 험난한 여정을 거치며, 여러 위험과 고난에 직면한다. 그러나 그들은 결국 한국에 도착하고, 새로운 삶을 시작한다.
이소연 씨 북한에서 탈북을 시도하다가 실패하고, 중국에서 재탈북을 하여 한국에 도착한 여성이다. 그녀는 북한에 남겨진 아들을 데려오기 위해 김성은 목사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그러나 그녀의 아들은 탈북을 시도하다가 중국 경찰에 붙잡혀 북송당하는 비극을 겪는다. 그녀는 아들의 죽음을 알게 되고, 슬픔과 분노에 휩싸인다.
이현서 씨 14살에 탈북한 후 미국에서 작가로 활동하는 여성이다. 그녀는 미국에서 고등학교와 대학교를 졸업하고, 2015년 자신의 탈북 경험을 담은 회고록 <일곱 개의 이름을 가진 소녀>를 출간했다. 이 책은 전 세계에서 베스트셀러가 되었으며, 20여 개 언어로 번역되었다. 그녀는 현재 미국에서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영화의 감동적인 장면과 메시지

<비욘드 유토피아>는 탈북의 과정과 결과에 대해 솔직하고 객관적으로 보여주는 영화이다. 그러나 그 속에서도 감동적인 장면과 메시지가 부족하지 않다. 다음은 영화에서 인상 깊었던 몇 가지 장면과 메시지를 소개한다.

  • 노 씨 일가족이 태국에서 한국 대사관에 입장하는 장면 이 장면은 영화의 하이라이트로, 탈북의 성공을 의미한다. 노 씨 일가족은 험난한 여정을 끝내고, 한국 대사관의 문을 열고 들어간다. 그 순간, 그들의 얼굴에는 눈물과 웃음이 섞여있다. 그들은 이제 자유롭고 안전한 삶을 살 수 있다는 것을 깨닫는다. 이 장면은 탈북민들의 희망과 용기를 상징한다.
  • 이소연 씨가 아들의 죽음을 알게 되는 장면 이 장면은 영화의 비극으로, 탈북의 실패를 의미한다. 이소연 씨는 김성은 목사의 도움으로 북한에서 탈출한 후, 아들을 데려오기 위해 노력한다. 그러나 그녀의 아들은 중국 경찰에 붙잡혀 북송당하는 비극을 겪는다. 그녀는 아들의 죽음을 김성은 목사로부터 전화로 알게 된다. 그 순간, 그녀의 목소리에는 슬픔과 분노가 섞여있다. 그녀는 아들을 잃고, 혼자 남겨진다. 이 장면은 탈북민들의 고통과 절망을 상징한다.
  • 이현서 씨가 북한의 현실을 폭로하는 장면 이 장면은 영화의 교육적인 측면으로, 탈북의 의미를 의미한다. 이현서 씨는 14살에 탈북한 후 미국에서 작가로 활동한다. 그녀는 영화에서 북한의 현실과 탈북의 필요성에 대해 강하게 말한다. 그녀는 북한의 인권 유린과 세뇌, 그리고 탈북의 위험성과 희생을 직접 겪었기 때문에, 그것을 세계에 알리고자 한다. 그녀는 탈북민들의 목소리와 대변자가 된다.영화의 평가와 반응
  • *<비욘드 유토피아>**는 영화제와 시상식에서 많은 상을 수상하고, 전 세계에서 호평을 받았다. 이 영화는 제96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베스트 다큐멘터리 후보로 선정되었으며, 로튼토마토에서는 신선도 100%를 기록하며 평론가들의 극찬을 받았다.
    또한, 이 영화는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등 여러 나라에서 개봉되었으며, 관객들의 눈물과 감동을 자아냈다. 이 영화는 북한의 인권 문제와 탈북민들의 삶에 대해 진실하고 감각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되었다.영화의 교훈과 의미<비욘드 유토피아>는 단순히 탈북의 과정과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탈북의 의미와 가치를 묻는 영화이다. 이 영화는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교훈과 의미를 전한다.
  • 인권은 보장되어야 하는 기본적인 인간의 권리이다 북한 주민들은 인권이 침해되고, 억압받고, 고통받는다. 그들은 자유와 행복을 갈망하고, 탈북을 시도한다. 그러나 그들은 탈북의 위험과 비용을 감수해야 한다.
  • 탈북은 쉽지 않은 선택이다 탈북을 하면, 자신의 고향과 가족을 떠나야 한다. 또한, 탈북의 과정에서 많은 위험과 고난에 직면한다. 탈북 후에도, 새로운 환경과 문화에 적응하고,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 탈북은 삶의 전환점이다 탈북은 용기와 희생의 결실이다. 탈북을 하려면, 자신의 삶을 걸고, 모든 것을 버려야 한다. 그러나 그들은 그것을 감수하고, 자신의 꿈과 희망을 위해 행동한다. 그들은 자신의 삶을 바꾸고, 새로운 세계를 탐험한다. 그들은 인간의 존엄과 삶의 가치를 실현한다.
    이 영화를 통해 우리는 북한 주민들의 고통과 희망을 이해하고, 그들의 인권 문제에 대해 더 많은 관심과 지지를 보내야 할 것이다.
    01234567891011121314